교실힐링의 심리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집단치료 과정 알아보기

어린이들의 한 뼘 친구 마음톡톡이 마음치유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왜 ‘집단’ 심리치료일까요?

마음톡톡 교실힐링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8~10명의 집단 단위로 진행하는 심리치료 프로그램입니다. 집단 단위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핵심적인 이유는, 아이들이 집단 안에서 직접 관계를 경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사회성을 기르길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즉 아이들이 개별적으로 사회성 향상 교육을 받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하나의 집단으로 응집되고 서로에게 유대감과 소속감을 느끼는 경험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실힐링은 ‘집단치료(group therapy)’ 방법론으로 아이들에게 접근합니다. 집단치료란 치료적인 목적을 위해 집단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각 구성원들의 부적응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예술치료사가 활용하는 예술매체는 아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끌어내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마음톡톡이 집단치료 방법을 선택한 배경은?

집단치료에서 참여 아동 개개인이 사회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집단의 응집과 발전이 필수적입니다. 아이들이 하나로 똘똘 뭉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가질만큼 발전했을 때 사회성 향상은 더욱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교실힐링의 목표도 ‘집단의 발달’이며,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집단역학의 대가인 Bruce Tuckman의 이론을 많이 참고했습니다.Bruce Tuckman의 이론은 집단의 발달 과정에 대해 ‘형성기, 격동기, 규범기, 수행기, 휴지기의 5단계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이론으로,  해석하는 학자에 따라 마지막 휴지기를 제외한 4단계로 정리되기도 합니다.

구분 내용 과업
 형성기(forming)  서로간에 시험하고 의존하는 단계 오리엔테이션
 갈등기(storming)  집단에 내부적인 갈등을 겪는 단계 감정표현
 안정기(norming)  집단응집력이 중시되는 단계 적절한 의사소통
 수행기(performing) 기능적인 역할관계가 이루어지는 단계 통찰 및 문제해결

※ 이후경, 집단정신치료 : 집단역학, 신경정신의학 42권 2호 (2003) 재구성

교실힐링 역시 이러한 집단의 발달을 가정한 구조적인 프로그램입니다. 교실힐링은 1년간 총 12회기의 교실힐링 시간 동안 집단응집력을 최대한 향상시키고 그 안에서 아이들이 소속감, 유대감, 자아존중감, 상호작용 능력 등을 얻어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단이 발달하는 과정을 예상하고 각 단계마다 적합한 예술치유 활동을 아이들이 소화할 수 있게 기획하였습니다.


집단발달에 기초한 교실힐링 프로그램의 회기 구조

1부터 12회기 까지의 집단응집력과 집단의 발전에 대한 꺾은선그래프. 자기표현, 갈등표출, 집단의 응집, 공연, 종결의 단계로 이어진다.

1. 형성기 (1~2회기)

프로그램 초반부인 형성기는 집단의 응집이 일어나기 전에 아이들이 서로에 대해 탐색하고 자기를 드러낼 수 있는 일종의 준비 기간입니다.

집단은 이미 학교에서 같은 학급에 소속되어 있는 아이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서로간에 모두 다 잘 알고 친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학업 이외에 친구들과 함께 본격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1회기가 시작하는 시점인 1학기는 학급이 구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같은 반 친구더라도 서로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자기를 드러내는 것에 경계심을 가진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우선 예술치료사들은 ‘이제부터 집단이 함께 활동한다’는 신호를 줍니다. 그리고 본격적인 활동보다는 아이들 각자가 먼저 자기를 드러내고 개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예술활동을 진행하고, 동시에 집단 아이들 간의 라포(신뢰관계) 형성과 탐색이 일어날 수 있게 도와줍니다.

2. 갈등기 (3~4회기)

형성기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에는 자연스럽게 갈등기가 따라옵니다. 형성기에는 서로 어색하고 쭈볏쭈볏해서 아이들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고, 집단의 형성이 어느정도 이루어진 갈등기에는 부정적인 상호작용이 본격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의 감정과 생각 ・ 의견을 다른 친구들 앞에서 잘 드러낼 수 있는 수준이 되면, 서로간의 의견충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갈등의 원인은 아이들의 생각과 감정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특히 청소년기를 지나는 학생들은 상대방에 대한 공감과 이해에 기반하여 움직이고 대응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아무런 여과 없이 자신의 생각을 드러냄으로써 갈등 상황이 곧잘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집단의 발전에 있어서 갈등 상황은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오히려 갈등이 나타나지 않고 아이들 간에 표면적인 관계만 지속된다면 더 위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집단이 스스로 갈등상황을 어떻게 극복해나가느냐가 더 중요한 포인트가 되는 것입니다.

예술치료사들은 갈등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안에 따라 이것을 갈등 당사자간에 해결하게 하는 방법과 집단 안에서 갈등 상황을 공론화하고 짚고 넘어가는 방법 중 적절한 것을 활용하게 됩니다.

3. 응집기 (5~9회기)

갈등으로 인해 아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편차가 발생하는 상태가 이어지고, 어느 시점이 되었을 때 아이들은 갈등 상황을 딛고 하나로 응집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 과정이 프로그램에서 가장 긴 회기동안 진행되며,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기간동안 예술치료사들은 주로 집단 전체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많이 기획하며, 아이들이 집단 안에서 소속감과 유대감을 느낄 수 있는 나눔의 장을 많이 제공해 줍니다. 아이들은 서로에 대한 공감과 이해의 폭이 넓어지며, 다른 친구와 자신의 의견 ・ 생각을 조율하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이로써 아이들은 집단 안에서 안정감을 얻고 심리적으로 더욱 단단하게 응집하게 됩니다.

4. 수행기 (10~11회기)

집단의 응집이 잘 이루어지고 나면, 이제 공연을 수행하는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공연은 프로그램의 말미인 11회기에 진행하게 되는 정해진 이벤트로, 집단 단위로 따로 떨어져서 활동해왔던 것을 반 전체가 한 자리에 모여 집단별로 준비한 공연을 수행하게 됩니다. 자기 집단에서 준비한 공연을 반의 다른 친구들에게 선보이는 자리인 것입니다.

교실힐링 프로그램에서 공연은 조금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흔히 공연이라고 하면 관객을 앞에 두고 무언가를 뽐내고 보여주는 무대로 생각하기 마련이죠. 하지만 교실힐링의 공연은 보여주기가 아니라, 다른 친구들에게 자신의 이야기, 자기 집단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자리에 가깝습니다. 1회기부터 9회기까지 아이들이 함께 만들어내고 나누었던 이야기에 약간의 공연 형식을 덧입히는 준비 과정을 10회기에 진행하고, 11회기에 다른 친구들에게 그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입니다. 이것은 집단 안에만 머물러있던 관계성을 반 전체로 확장시키는 시도이기도 합니다.


집단마다 가진 특성과 에너지의 정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각 집단이 만들어내는 그림은 조금씩 다르지만, 교실힐링의 예술치료사들은 모두 위와 같은 발달 과정을 그려내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마무리되는 12회기에는, 아이들이 평상시의 학교생활로 다시 돌아가게 되더라도 그동안 집단 안에서 서로 응집되고 결속되었던 경험을 고스란히 가져갈 수 있도록 지나온 과정을 돌이켜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교실힐링을 통해 아이들이 얻게 된 소중한 경험들이 반 전체의 건강한 또래관계로 확장되고 계속될 학교생활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내 아이 마음이 궁금할 땐? 마음톡톡, 부모자녀 콘텐츠 보러가기, NAVER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