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마는 내가 게임밖에 모른대요.
내가 게임을 해야 관심을 가져주는 것 같아요.
다른 건 귀찮고 싫어요.
나는 게임이 좋아요.

스마트폰/인터넷 중독 위험군 판정을 받은 진수는 매사에 의욕이 없고 마음톡톡 프로그램 참여도 소극적인 아이었습니다.

낮은 자존감과 불안감을 표현하는 아이들 대부분은 자아에 대한 인식도 모호한 상태가 된다고 해요. 이번 마음톡톡 프로그램에서는 ‘자존감 상승’과 ‘긍정적 자아 인식’으로 치료목표를 세워보았어요.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는 진수를 위해 음악치료를 하기로 했답니다. 진수의 움직임을 칭찬하며 친구들에게 춤동작을 가르쳐 주라고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주변으로부터 긍정적 반응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주었죠.

이후 자신의 캐릭터를 직접 만들어 보며 자신의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진수는 이 활동을 통해 자신의 긍정적인 부분을 발견하기 시작했어요.

친구들로 부터 ‘긍정적 관심’을 경험하며 자신감이 붙은 진수는 숨겨뒀던’ 가수의 꿈’을 이야기했습니다. ‘건강한 자아 표현’을 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 것이죠.

부정적인 표현으로 자신의 관심과 욕구를 표현했던 진수가 긍정적인 자아를 새로 인식하고, 자존감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은 ‘또래들로부터 인정 받는 경험’이 만들어낸 변화였습니다. 집단활동을 통한 친구들의 무조건적인 ‘공감’과 ‘수용’이 진수를 변화시킨 비결이었죠.

게임 말고도 잘 할수 있는게 있어요!
사람 눈도 잘 못 마주치며 게임만 하던 소극적인 진수가 게임 보다는 새로운 춤을 배우는 것에 재미를 느끼며 친구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소중히 여기는 아이로 변했답니다!
우리 아이가 게임에 중독일 때
1. 아이를 잘 지켜봐주세요
아이들은 어른들이 하지 말라는 부정적 행동을 지속해서 관심을 끌어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찰만 잘 해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공감을 통해 긍정적 관심을 경험하게 해주세요
아이의 강점이 보이면 즉시 긍정적 반응을 보여주세요. 무조건적인 수용과 공감은 아이에게 긍정적 관심을 경험하게 합니다. 칭찬의 순간, 아이에게 새로운 꿈과 희망이 생길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