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이 학교생활을 따라갈 수 없다는 선생님의 말을 듣고 아들과 함께 교문을 나서면서 어머니는 실망하는 아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너는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어 남과 같으면 어떻게 성공할 수 있겠니?”
아인슈타인의 어머니 파울리네의 이야기다.
자녀가 학교에서 “이 아이는 앞으로 무슨 일을 해도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는 성적표를 받아왔다면 대부분의 부모들은 격하게 아이를 혼내거나 부모의 좌절감을 아이에게 폭발할지도 모르는데, 파울리네의 반응은 달랐다.
그녀는 속상한 마음을 표출하거나 뒤처져 보이는 아이의 현실에 개의치 않고, 아이의 등을 토닥이며 넘치는 호기심을 잘 계발하도록 마음을 다해 격려했다.
좋은 성품에서 나오는 따뜻하고 여유로운 태도로 아들의 탐구심과 호기심을 인정하고 충분히 기다리면서, 아이가 새로운 방법으로 생각하고 행동하여 창의성의 성품을 계발할 수 있도록 도운 셈이다.
자칫 낙오자로 남을 수 있던 아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본 엄마 파울리네 덕분에 아인슈타인은 마침내 물리학의 패러다임을 바꿔놓는 위대한 결과를 낳았다.
창의성(creativity)이란 “모든 생각과 행동을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해 보는 것” (좋은나무성품학교 정의)이다. 남과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함으로써 새롭고 유익한 것을 창조하는 능력이 창의성의 성품이다. 미국영재교육연구소 렌줄리(Renzulli) 소장은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과 과제 집착력,높은 창의성을 갖춘 학생을 영재로 정의하는데 그중에서도 창의성을 영재성의 핵심 요소로 본다.
그러나 필자가 강연장에서 만난 학부모들의 경우 자녀가 창의적인 인재로 자라기를 바라면서도 막상 자녀가 또래 아이들과 다른 생각이나 다른 행동을 하면 크게 당황하여 아이를 야단치거나 다그치는 경향을 보인다. 부모들은 자신의 생각에 입력되어 있는 성공 공식대로 자녀를 몰아가기 십상이다. ‘누구나 이렇게 하니까’라는 막연한 논리로 누구나 가는 길을 따라가다 보면 정작 우리 아이는 창의적인 인재로 자랄 수는 없다.
자녀가 관심을 기울이는 것에 집중할 때 비로소 더 좋은 생각, 더 좋은 감정, 더 좋은 행동을 선택할 기회를 얻는다. 곧 좋은 성품을 품을 기회가 생기는 셈이다.
좋은 성품이란 “갈등과 위기상황에서 더 좋은 생각, 더 좋은 감정, 더 좋은 행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영숙, 2005)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창의성 있는 부모만이 자녀에게 내재된 창의성의 좋은 성품을 이끌어낼 수 있다. 부모가 창의성의 성품으로 자녀의 생각과 행동을 격려하고 지지할 때 비로소 자녀는 자신의 개성을 즐거워하고 창조적인 시도를 주저하거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일상에서 부모가 보여주는 좋은 성품의 관심 속에서 안정감을 경험한 자녀만이 다른 사람들이 하는 대로 따라 하기보다 나만의 장점을 계발하여 긍정적인 생각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을 갖는다. 창의성을 가진 부모만이 자녀를 행복한 인재로 자라게 한다.
다중지능이론으로 유명한 하버드의 교육심리학 교수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는 열정과 기질에서 창의성 있는 인재들의 공통점을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창의성 있는 인재들에게는 자신의 세계를 지지하는 멘토가 있다.
창의성을 키우려면 잠재력을 길러줄 스승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가 ‘왜’라고 쏟아내는 아이의 질문을 경청하고, 충분히 격려하는 멘토가 될 때 자녀의 창의성은 자란다.
경청이란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잘 집중하여 들어 상대방이 얼마나 소중한지 인정해주는 것”(좋은나무성품학교 정의)이다. 아인슈타인, 피카소, 간디처럼 창의성을 가진 인재들에게는 언제나 그들의 질문을 의미 있게 받아들이고 그들의 생각을 인정해주는 부모와 교사가 있었다.
둘째, 창의성이 풍부한 인재들은 자존감을 기반으로 자신의 생각을 펼친다.
기쁨이란 “내가 얼마나 소중한지 알고 즐거워하는 것”(좋은나무성품학교 정의)이다. 스스로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 때, 자신의 인생을 긍정하며 새로운 도전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
기쁨의 성품으로 높은 자존감을 소유한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을 자신 있게 나누면서 즐거워하지만,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은 상대의 평가를 두려워하여 새로운 생각과 행동을 주저한다. 따라서 아이들의 창의성을 계발하려면 부모와 교사가 먼저 아이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고 자존감을 키워주어야 한다.
우리는 너를 사랑한단다. 네가 무엇을 하든 상관없이 너는 우리에게 소중한 존재란다. 너는 우리의 내일이고 소망이다”
셋째, 창의성 있는 인재들의 경우 혁신적인 도약을 이루기까지 10년 정도 인내하며 꾸준하게 노력하는 것을 본다.
인내의 성품은 “좋은 일이 이루어질 때까지 불평 없이 참고 기다리는 것”(좋은나무성품학교 정의)이다. 창의적인 생각은 어느 날 갑자기 떠오르는 생각이 아니라, 수많은 정보를 더하고 빼고 통합하는 과정을 묵묵히 인내함으로써 얻는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는 “창의적인 인물은 호기심이 많고 개방적이면서도 편집증에 가까운 끈질긴 인내심을 보인다”고 말한다. 그러니 아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부모와 교사가 인내의 성품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창의적인 생각과 행동이 떠오를 때까지 침착하게 생각하고 관련 지식을 묵묵히 쌓아 나가도록 격려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본 포스팅은 이영숙 박사님의 ‘아이교육’ 관련 기고글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본 포스팅은 이영숙 박사님의 저서 [이영숙 박사의 성품대화법] 에서 일부 발췌하여 작성했습니다.
저자의 동의 없이 무단전재와 복제하는 것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