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입학, 새 학기! 그리고 타향살이를 시작해야 하는 이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있죠? 바로 따뜻하고 아늑한 우리의 보금자리, 자취방입니다! 오늘은 수능이 끝난 후 16학번 입학을 앞두고 있는 새내기들 혹은 사회생활의 첫발을 내딛으며 이사를 앞두고 있는 분들에게 유용한 꿀팁을 준비해 보았는데요. 자취방 구하기의 모든 것, A부터 Z까지!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수 년을 살아갈 자취방을 정하는데 쉽게 결정할 수 없겠죠? 1년 중 가장 바쁜 이사철로 손꼽히는 2월, 자취방 구하기 전쟁터에서 승리하기 위한 노하우를 소개합니다.
* 여기서 잠깐!
일찍이 발품을 팔아 자취방 구하기에 성공했다면, 계약서 작성부터 이사 후 챙겨야할 꿀팁 정보를 알차게 모아놓은 자취방 계약 시 꼭 알아야 할 꿀팁을 확인해주세요.
>>모르면 당한다! 자취방 구하기의 모든 것 2탄, 자취방 계약 시 꼭 알아야 할 꿀팁 (바로가기)
1. 부동산에 방문하기 전, 직거래 커뮤니티와 모바일 어플의 도움을 받아라

우리가 방을 구할 때 자연스럽게 발길을 옮기는 곳! 바로 부동산이라 불리는 공인중개사 입니다. 하지만 부동산도 아무 정보 없이 찾아가면 엄동설한 추위에 시간을 낭비하는 낭패를 볼 수 있죠. 바야흐로 스마트 시대! 발품을 팔기 전 인터넷 커뮤니티와 모바일 어플을 통해 구하고자 하는 원룸 시세와 위치, 방의 옵션 등을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1) 추천 커뮤니티
2) 추천 어플
2. 학교 OR 회사와의 거리와 교통편을 생각해라

필자의 개인적 경험을 더해 전달 드리는 팁은 학교 혹은 회사와의 거리와 교통편을 고려해 자취방의 위치를 정하는 것입니다. 학교나 회사 근처에 살 것인지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된다면 어떤 역 근처에 살아야 출퇴근이 편리한지 고민해야겠죠. 생활 동선을 고려에 집과 가까운 곳에 대형마트나 편의점 등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 팁 중 하나!
자취방은 금전적 여유가 된다면 학교나 회사 앞이 좋겠지만 우리의 사정은 아마 월세를 감당하기 어렵겠죠..? 학교나 회사에서 조금 멀어도 교통편이 편리한 곳을 꼭 선점하세요!
3. 계약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고 발품을 팔며 방을 직접 확인해라

자취방을 방문하기 전 마음에 드는 방을 고르는 기준은 크게 방의 크기, 보증금과 월세 혹은 전세의 가격, 집의 위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 기준에는 각자의 우선 순위가 정해지겠죠. 앞서 소개해 드린 인터넷 커뮤니티나 모바일 어플 등을 통해 자신의 기준에 맞는 자취방 리스트를 4~5군데 정하고 하루 정도 발품을 팔며 방을 직접 확인해 볼 것을 추천합니다.
필자의 경우 ‘자취방 위치 > 보증금 및 월세 > 방의 크기’라는 우선 순위를 두고 방을 구했던 기억이 나는데요. 방이 작더라도 역이나 버스 정류장에서 조금 더 가까운 곳을 고집했죠.
4. 만족스러운 방이 있다면 등기부등본을 최종 확인하고 계약 완료!
이렇게 많은 체크리스트를 통과한 방이 있다면?! 그래 이 방에 바로 내 자취방이야!! 이제 남은 건 계약뿐인데요. 자취방 계약을 처음 해보는 분들에게 이 또한 걱정거리입니다:( 그럼 자취방 계약 시 안전한 거래가 오갈 수 있도록 주의사항을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죠.
계약시 주의사항
1) 계약서 작성 전, 반드시 등기부등본 확인을 통해 건물 및 토지 소유자의 동일여부, 근저당 및 가압류 내용, 자취방 호수 기재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2) 계약시 이중계약 방지를 위해 등기상 집주인과 계약자의 신분 확인을 위해 신분증을 꼭 확인합니다.
3) 이사날짜를 정하고 도배, 장판, 누수 문제 등 이사 전 집안에 수리되어야 할 부분을 꼼꼼히 확인 후 계약서 특약사항에 모두 기록해 입주 후 피해 보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4) 가계약금, 보증금, 전세금, 월세 등 모든 금전거래는 거래 내역을 기록으로 남겨두기 위해 반드시 계좌이체로 진행합니다.
5) 보증금 및 전세금 보호를 받기 위해 이사 후에는 반드시 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습니다.
* 확정일자 받는 법:
관할 주민센터 방문 → 전입신고 신청서 접수 → 전입신고 완료 → 주민등록등본 1부 발급 → 확정일자 요청 → 확정일자 확인 도장 → 완료
지금까지 자취방을 구하기에 앞서 걱정하고 있을 예비 자취생들을 위해 “자취방 구하기의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큰 금액이 오고 가는 거래인만큼 다시 한 번 체크리스트 꼼꼼히 확인하셔서 알뜰살뜰 따뜻하고 아늑한 나만의 보금자리 구하시길 바랍니다
